대한민국 인구 구조 분석 / 📮 국내 퇴직연금 시장, 10년 후에도 쭉쭉 커져요📈 / 은퇴계획 실수 Top 10 / 🔸 확정급여형(DB) 🔸 확정기여형(DC) 🔸 개인형퇴직연금(IRP)
#
#
#
2025년 대한민국 인구 구조 분석
👥 총 인구: 51,207,874명
연령대별 인구 비율
• 0~9세: 6.1% (3,120,049명)
• 10대: 9.0% (4,620,676명)
• 20대: 11.6% (5,930,348명)
• 30대: 12.9% (6,617,652명)
• 40대: 15.1% (7,707,067명)
• 50대: 17.0% (8,719,128명)
• 60대: 15.3% (7,820,535명)
• 70대: 8.2% (4,220,090명)
• 80대: 4.1% (2,109,061명)
• 90대 이상: 1.4% (343,268명)
주요 포인트
1. 50대 최다 비중: 인구의 17%가 50대로 가장 큰 연령대
2. 고령화 진행: 60대 이상 인구가 전체의 34.6%를 차지하며 고령화 심화
3. 저출산 영향: 0~9세 인구는 6.1%, 10대는 9%로 미래 인구 감소 예상
4. 20~30대 비중 감소: 청년층 인구 비율은 24.5%로 줄어드는 추세
✔️한 줄 요약
고령화 가속화와 저출산으로 미래 세대의 부담이 커지는 대한민국 인구 구조!
👥 총 인구: 51,207,874명
연령대별 인구 비율
• 0~9세: 6.1% (3,120,049명)
• 10대: 9.0% (4,620,676명)
• 20대: 11.6% (5,930,348명)
• 30대: 12.9% (6,617,652명)
• 40대: 15.1% (7,707,067명)
• 50대: 17.0% (8,719,128명)
• 60대: 15.3% (7,820,535명)
• 70대: 8.2% (4,220,090명)
• 80대: 4.1% (2,109,061명)
• 90대 이상: 1.4% (343,268명)
주요 포인트
1. 50대 최다 비중: 인구의 17%가 50대로 가장 큰 연령대
2. 고령화 진행: 60대 이상 인구가 전체의 34.6%를 차지하며 고령화 심화
3. 저출산 영향: 0~9세 인구는 6.1%, 10대는 9%로 미래 인구 감소 예상
4. 20~30대 비중 감소: 청년층 인구 비율은 24.5%로 줄어드는 추세
✔️한 줄 요약
고령화 가속화와 저출산으로 미래 세대의 부담이 커지는 대한민국 인구 구조!
노후를 위해 차곡차곡 쌓은 연금
우리 국민은 어떻게 받고 있을까요?
⠀
지난 10월 26일 통계청에서는
통계등록부를 중심으로
모든 연금데이터를 연계한
연금통계를 최초로 개발했는데요.
⠀
초고령 시대에 노인빈곤 해소와
지속 가능한 복지국가 개혁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번 통계 결과
우리 국민은 어떻게 받고 있을까요?
⠀
지난 10월 26일 통계청에서는
통계등록부를 중심으로
모든 연금데이터를 연계한
연금통계를 최초로 개발했는데요.
⠀
초고령 시대에 노인빈곤 해소와
지속 가능한 복지국가 개혁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번 통계 결과
퇴직연금
⠀
어렵고 복잡한 연금? 가장 기본적인 것부터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두번째 장은 퇴직할때 받게 되는 연금 퇴직연금 입니다.
⠀
📄 퇴직연금이란?
・ 근로자 재직 기간 중 사용자(회사)가 근로자의 퇴직급여를 금융기관에 적립・ 이 적립금을 사용자(DB) 또는 근로자(DC)가 운용하다가 55세 이후에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
📄 퇴직연금, 종류가 다양해요?
(1)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 (DB : Defined Benefits Retirement Pension)
・ 근로자가 퇴직할 때 받을 퇴직급여가 사전에 확정된 퇴직연금 제도
・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금을 적립하고 회사의 책임으로 운용
⠀
(2)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 (DC : Defind Contribution Retirement Pension)
・ 회사가 납입할 부담금이 매년 근로자 연간 임금총액의 1/12로 사전에 확정된 퇴직연금 제도
・ 근로자가 직접 자신의 퇴직연금 적립금을 운용하여, 적립금과 운용수익을 퇴직급여로 지급
⠀
(3) 개인형퇴직연금제도 (IRP :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 근로자가 직장을 옮기거나 퇴직하면서 지급받은 퇴직급여를 한 계좌로 모아 노후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퇴직연금 통산장치(전용계좌) 제도
⠀
💡 올해부터 퇴직자 세부담을 경감해주기 위해서 퇴직소득세 부담이 완화되었어요. 퇴직금에 대한 퇴직소득 계산 시 근속 연수에 따라 공제하는 금액을 상향해요. 2023년 1월 1일 이후 퇴직하는 분부터 적용된다고 하니 참고해서 나의 퇴직금 잘 계산해보세요!
⠀
| 예금자보호법상 보호상품 아님 | 투자전 설명 청취 및 (간이)투자설명서ㆍ약관 필독 ㅣ 원금손실 발생가능 및 투자자 귀속 | 과세율/과세기준 변동 가능 | 연금 이외의 방법으로 수령시 기타소득(16.5%)으로 과세 |
⠀
※ (DB) 예금자보호법상 보호상품 아님 ※ 원금손실 발생가능 및 투자자 귀속
※ (DC/IRP)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으로 운용되는 적립금에 한해 다른 보호상품과는 별도로 5천만원까지 (운용회사별 합산) 예금자보호
※ 과세기준 및 방법 향후 변동 가능
📮 국내 퇴직연금 시장, 10년 후에도 쭉쭉 커져요📈
⠀
⠀
지난 22일,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퇴직연금시장 전망’ 자료를 발간했어요. 가장 눈여겨볼 만한 점은 국내 퇴직연금 시장이 매년 더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에요. 보고서에 따르면 10년 후인 2033년에 국내 퇴직연금 시장은 지금보다 2.6배 불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퇴직연금, 유형에 따라 다르게 성장한다?
🔸 확정급여형(DB): 192조원 -> 398조원 (2.07배)
🔸 확정기여형(DC): 86조원 -> 222조원 (2.58배)
🔸 개인형퇴직연금(IRP): 58조원 -> 239조원 (🔥4.12배)
⠀
IRP가 더 많이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 이유는?
•고령화로 인해 DB형이나 DC형 계좌에서 IRP로 자금 이동
•개인연금 세액공제 혜택 IRP+연금저축계좌 합하여 연간 1,800만원까지 13.2~16.5% 세액공제)
⠀
------------------------------------------------------------
⠀
📮 2022년 국민연금 수익률, 역대 최저 기록?! 🙀
⠀
지난해 주식시장은 전반적으로 하향하는 모습을 보였죠. 국민연금기금도 마이너스 수익률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2022년 한 해 동안 국민연금기금은 -8.47%의 수익률을 기록했어요. 연간 수익률을 기준으로 했을 때, 기금이 설치된 1988년 이후 최저 수익률이라고 해요. 액수로 따지면 80조원 정도의 손실을 본 거죠.
⠀
이러한 손실은 특히 지난해 4분기에 발생했습니다. 이 시기 국민연금공단은 애플, 아마존, 알파벳(구글), 테슬라, 엔비디아 등 미국 대형 기술/성장주 비중을 늘렸어요. 하지만 미국 증시의 약세장이 지속되면서 수익률 개선 효과는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
지난 22일,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퇴직연금시장 전망’ 자료를 발간했어요. 가장 눈여겨볼 만한 점은 국내 퇴직연금 시장이 매년 더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에요. 보고서에 따르면 10년 후인 2033년에 국내 퇴직연금 시장은 지금보다 2.6배 불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퇴직연금, 유형에 따라 다르게 성장한다?
🔸 확정급여형(DB): 192조원 -> 398조원 (2.07배)
🔸 확정기여형(DC): 86조원 -> 222조원 (2.58배)
🔸 개인형퇴직연금(IRP): 58조원 -> 239조원 (🔥4.12배)
⠀
IRP가 더 많이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 이유는?
•고령화로 인해 DB형이나 DC형 계좌에서 IRP로 자금 이동
•개인연금 세액공제 혜택 IRP+연금저축계좌 합하여 연간 1,800만원까지 13.2~16.5% 세액공제)
⠀
------------------------------------------------------------
⠀
📮 2022년 국민연금 수익률, 역대 최저 기록?! 🙀
⠀
지난해 주식시장은 전반적으로 하향하는 모습을 보였죠. 국민연금기금도 마이너스 수익률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2022년 한 해 동안 국민연금기금은 -8.47%의 수익률을 기록했어요. 연간 수익률을 기준으로 했을 때, 기금이 설치된 1988년 이후 최저 수익률이라고 해요. 액수로 따지면 80조원 정도의 손실을 본 거죠.
⠀
이러한 손실은 특히 지난해 4분기에 발생했습니다. 이 시기 국민연금공단은 애플, 아마존, 알파벳(구글), 테슬라, 엔비디아 등 미국 대형 기술/성장주 비중을 늘렸어요. 하지만 미국 증시의 약세장이 지속되면서 수익률 개선 효과는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은퇴계획 실수 Top 10
1. 인플레이션 영향 과소평가
- Underestimating the impact of inflation (49%)
2. 기대수명에 대한 과소평가
- Underestimating how long you will live (46%)
3. 투자수익 과대계산
- Overestimating investment income (42%)
4. 너무 보수적인 투자
- Being too conservative in investments (41%)
5. 비현실적인 기대 수익률 계산
- Setting unrealistic return expectations (40%)
6. 의료비용을 고려하지 않음
- Forgetting to factor healthcare costs (39%)
7. 소득원에 대해 이해하지 못함
- Failing to understand income sources (35%)
8. 공적혜택에 너무 의존
- Relying too much on public benefits (33%)
9. 부동산 비용 과소평가
- Underestimating real estate costs (23%)
10. 투자에 지나친 공격적 태도
- Being too aggressive in investments (21%)
1. 인플레이션 영향 과소평가
- Underestimating the impact of inflation (49%)
2. 기대수명에 대한 과소평가
- Underestimating how long you will live (46%)
3. 투자수익 과대계산
- Overestimating investment income (42%)
4. 너무 보수적인 투자
- Being too conservative in investments (41%)
5. 비현실적인 기대 수익률 계산
- Setting unrealistic return expectations (40%)
6. 의료비용을 고려하지 않음
- Forgetting to factor healthcare costs (39%)
7. 소득원에 대해 이해하지 못함
- Failing to understand income sources (35%)
8. 공적혜택에 너무 의존
- Relying too much on public benefits (33%)
9. 부동산 비용 과소평가
- Underestimating real estate costs (23%)
10. 투자에 지나친 공격적 태도
- Being too aggressive in investments (21%)
⠀
어렵고 복잡한 연금? 가장 기본적인 것부터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네번째 장은 앞서 소개드린 3층 연금 외에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주택연금 입니다.
⠀
📄 주택연금이란?
・ 주택을 보유하고 있지만 소득이 부족한 노인들을 위해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시행중인 연금제도・ 고령자가 보유한 주택을 금융 기관에 담보로 제공하고 사망할 때까지 그 주택에 거주하면서 매월 일정액을 연금 형식으로 지급
⠀
‼️대출자가 사망하면 어떻게 되나요?
금융 기관이 주택을 팔아 그동안의 대출금과 이자를 상환받아요. 그러나 주택 명의자가 사망한다 해도 배우자가 생존해 있다면 배우자 역시 사망시까지 해당 주택에 거주할 수 있고, 명의자 사망 후에도 기존 연금과 100% 동일한 금액이 지급돼요.
⠀
📄 주택연금 가입 조건은?
・ 주택의 명의자 혹은 배우자가 만 55세 이상
・ 9억원 이하의 1주택, 혹은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된 노인복지주택 소유
・ 2주택을 갖고 있으나 합산 공시가격 등이 9억원 이하라면 3년 이내에 나머지 1주택을 처분하는 조건으로 가입 가능
⠀
‼️가입 후 집값이 내려가면 연금은 어떻게 되나요?
주택연금에 가입한 후에 집값이 내려가더라도 처음 가입할 때 정해진 연금지급액이 줄어들지 않고
평생 연금수령이 가능해요. 변동성이 없이 고정적인 수입이 있다는 것이 바로 주택연금의 장점이죠.
⠀
📄 주택연금 수령액은?
주택가격, 가입자의 나이, 지급방식과 유형에 따라 수령액이 달라져요. 한국 주택 금융공사에서 제공하는 예상 연금을 조회 계산기로 예상 수령액을 확인 해보세요.
참고로 22년 2월 기준 한국주택금융공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 주택연금 가입자의 수령액은 월 평균 160만 7000원이었어요.
⠀
⠀
📄 2023년 주택연금은?
현재까지 관련 제도에 큰 변화는 없지만, 금융 당국이 주택연금의 가입기준을 현재의 공시가격 9억원 이하에서 12억원 이하로 높이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어요.
⠀
⠀
| 예금자보호법상 보호상품 아님 | 투자전 설명 청취 및 (간이)투자설명서ㆍ약관 필독 ㅣ 원금손실 발생가능 및 투자자 귀속 | 자산가격 변동,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른 원금손실(0~100%) 발생가능 및 투자자 귀속 | 증권거래비용 등 추가발생 가능 | 과세율/과세기준 변동 가능 | 연금 이외의 방법으로 수령시 기타소득(16.5%)으로 과세 |
2023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2023 가구의 경제 상황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
통계청의 2023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구의 자산 5억2,727만원(전년대비 3.7%▼)
가구의 부채 9,186만원(전년대비 0.2%▲)
순자산 4억 5,602만원-> 4억 3,540만원
로 나타났습니다!
2023 가구의 경제 상황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
통계청의 2023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구의 자산 5억2,727만원(전년대비 3.7%▼)
가구의 부채 9,186만원(전년대비 0.2%▲)
순자산 4억 5,602만원-> 4억 3,540만원
로 나타났습니다!
0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19/08/blog-post_25.html
미국투자 시 알아두면 좋은 사이트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20/08/blog-post_25.html
재밌고, 유익한 책 모음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20/04/adsbygoogle-window_67.html
돈버는 부동산정보 사이트모음 / 아파트거래량 보는 법 / 좋은 아파트 매물 찾는 법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22/01/blog-post_25.html
한국사람들이 생각하는 결혼에 대한 모든 것!!!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19/08/blog-post_99.html
시설관리는 무슨일을 할까?부터 시설관리업무 후기를 한눈에 보이게 모았다!!!
시설관리 정보를 보시길 원하시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19/08/blog-post.html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