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월, 2024의 게시물 표시

IAEA(국제원자력기구)가 말하는 '안전문화 열화단계'는 ‘4단계’이다. / 안전문화(Safety Culture)는 '체르노빌 원전사고'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개념이다.

# # # [안전문화의 위상] 학습 요약 자료  1. 안전은 그 대상이 인간이고 문화는 집단을 이루는 구성원들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안전문화는 인간(조직) 고유의 안전과 관련된 심적 요인이다.  2. 안전관리의 기술적 접근이 1980년대 전반, 시스템적 접근이 1980년대 후반, 그리고 안전문화적 접근은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다.  3. 학습된 무력감과 불안 회피는 조직의 비난 사이클(Blame Cycle)을 촉발하는 기저 요인이다.  4. 안전문화는 '집단적인 주의깊음'을 토대로 조성된다.  5. 조직특성을 바꾸는 것이 실적을 내는 데 유리하다. 조직을 바꾸기 위해서는 지난한 시간과 조직 구성원 전체의 역량이 동원된다.  6. 안전문화(Safety Culture)는 '체르노빌 원전사고'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개념이다.  7. 안전문화를 구성하는 세부 문화 ① 보고하는 문화 ② 유연한 문화 ③ 학습하는 문화  8. IAEA(국제원자력기구)가 말하는 '안전문화 열화단계'는 ‘4단계’이다.  9. 속인적 조직의 문제점 ① 상부로 좋은 정보만 전달되는 문제점 ② 과제가 조직 내에서 논의되지 않고 개혁이 지체됨 ③ 결정권자가 과거의 성공체험에 얽매어 구시대적 폐해 발생 10. 규제자와 피규제자의 신뢰성 확보 방안은 ‘성과 또는 프로세스 기반 규제 방식’ 이다.  11. “누구도 보고 있지 않은 때에 사람들이 안전과 리스크에 관하여 어떻게 행동하는가 이다." 이와 같이 안 전문화를 정의한 조직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이다.  12. 안전문화의 발전단계 중 항상 개선될 수 있는 안전 상태는 3단계이다.  13. 경미한 사상(Event)이 일어나지만, 자기평가가 불충분하고 개선프로그램이 늦어지는 단계는 안전문화의 열화단계 중 제2단계(자만심)이다 0 사회초년생에게 돈이되는 꿀팁 모음 https://sorilovelylife.blo

연주주체의 장이 지정하는 연구실 책임자의 요건 ① 대학, 연구기관 등의 연구책임자 또는 조교수 이상의 직에 재직자 ② 해당 연구실의 사용 및 안전에 관한 책임을 가진 자 ③ 해당 연구실의 연구개발활동과 연구활동 종사자를 직접 지도, 관리, 감독하는 자

# # # [연구실 안전환경조성에 관한 법률] 학습 요약 자료  1. 연구실에서 안전관리 및 사고예방 업무를 수행하는 자를 ‘연구실 안전관리담당자’라 한다.  2. 연구실 안전관리 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하여 15인 이내로 구성된다.  3. 정밀안전진단은 2년에 1회 실시한다.  4.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비용은 해당 대학, 연구기관이 부담한다. 5. 정기 교육·훈련 중 정밀안전진단 실시 연구실은 반기별 6시간 이상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6. 연구실 교육·훈련 관련 사항 ① 근로자 신규 교육·훈련은 정밀안전진단 실시 연구실과 실시 대상이 아닌 연구실로 구분하여 실시한다. ② 근로자가 아닌 대학생, 대학원생 등은 신규 교육훈련을 2시간 이상 이수해야 한다. ③ 정밀안전진단 실시 대상이 아닌 연구실의 정규 교육훈련 시간은 반기별 3시간 이상이다. ④ 정밀안전진단 실시 연구실 근로자 신규 교육훈련시간은 8시간 이상이다. 7. 연구실 중대사고 발생시 즉시 보고사항 ① 사망자 발생 ② 3개월 이상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2명이상 발생한 사고 ③ 부상자가 동시에 5명 이상 발생한 사고 ④ 연구실의 중대한 결함으로 인한 사고  8. 연구실 안전법에 따라 가입한 보험의 보상내용 ① 사망시 유족급여 2억원 ② 장애 14등급 1,250만 원 ③ 입원급여 1일당 5만 원 ④ 치료비 실비 지급은 최대 5천만 원 9. 농약법에 따른 농약은 정밀안전진단 대상이 아니다.  10. 연구활동 종사자수가 3,000명 이상이면 안전환경관리자는 3명 이상 지정해야 한다.  11. 연구주체의 장은 연구실 안전환경관리자 지정, 연구실 안전관리위원회 구성·운영, 보험가입을 해야 한다.  12. 중대사고 사망 또는 휴유장애 부상자 1인 이상일 때 중대연구실 사고에 속한다.  13. 연주주체의 장이 지정하는 연구실 책임자의 요건 ① 대학, 연구기관 등의 연구책임자 또는 조교수 이상의 직에 재직자 ② 해당 연구실의 사용 및 안전에 관한 책임을 가진 자 ③ 해당 연

Temper Proof는 안전장치를 고의로 제거하거나 불능상태로 만들어 버리는 경우 제품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설계 개념이다. / 레이저 장비의 안전대책 ① 보안경을 착용하여 산란된 레이저 노출 최소화 ② 장비 종료 전 빔을 차단하고 시스템 셔터 폐쇄 ③ 작업범위에서 반사면이 없어야 함 ④ 레이저 사용표시 부착

# # # [연구실험실 기계·기구 및 전기안전] 학습 요약 자료  1. 작업점은 기계 및 공구가 회전운동이나 왕복운동을 할 때 발생하는 위험점이다.  2. 회전하는 두개의 회전체에 물려 들어가는 위험점은 물림점이라 한다.  3. Temper Proof는 안전장치를 고의로 제거하거나 불능상태로 만들어 버리는 경우 제품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설계 개념이다.  4. ‘격리형 방호장치’는 사용자가 작업점에 접촉되어 재해를 당하지 않도록 기계설비 외부에 차단벽이나 방 호망을 설치하는 것이다.  5. 유도방출에 의해 광을 발진 또는 증폭시키는 장치를 레이저 장비라 한다.  6. 연구실 장비 방호장치의 일반원칙 ① 방호장치를 제거하기 보다는 실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방호장치는 작업부분이 완전히 방호되어야 한다. ③ 외관상으로도 안전하게 보여야 한다. ④ 방호장치는 해당 기계의 특성에 적합해야하고 성능이 보장되어야 한다.  7. ‘접근반응형 방호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위험한 범위에 들어오면 이를 감지해 작동중인 기계를 즉 시 정지시키는 방식이다.  8. 사용자가 조작 실수를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설계개념은 ‘안전설계’이다.  9. 실험장비 중 증발시킨 금속을 대상물에 입히는 장비는 ‘증착장비’이다.  10. 레이저 장비의 안전대책 ① 보안경을 착용하여 산란된 레이저 노출 최소화 ② 장비 종료 전 빔을 차단하고 시스템 셔터 폐쇄 ③ 작업범위에서 반사면이 없어야 함 ④ 레이저 사용표시 부착  11. 짧은 파장의 UV라도 장시간, 반복 노출되면 인체에 영향을 준다. 파장에 따라 200nm이상의 광원은 인 체에 심각한 손상위험이 있으며, 낮은 파장이라도 장시간, 반복 노출될 경우 눈을 상하게 하거나 피부화상의 위험이 있다.  12. 연구실 기계의 위험요인 중 대표적인 6가지 위험점은 감김, 끼임점, 물림점, 접선 물림점, 절단점, 회전 말림점이다.  13. 고압멸균기의 안전대책

화학약품 운반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 ① 주변에 점화원이 없어야 한다. ② 화학약품은 운반용 용기에 넣어 운반한다. ③ 가연성 액체는 내압성 보관용기로 운반해야 한다. ④ 안전한 운반구를 이용하여 운반한다.

# # # [연구실험실 화학(화공)안전] 학습 요약 자료  1. 대기압 하에서 인화점이 65°C 이하인 가연성 액체로서 상온에서 쉽게 점화되어 연소하는 물질을 인화성 물질이라 한다.  2. 대기중에서 물질 스스로 발화가 용이하거나 물과 접촉하면 발화하여 가연성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발 화성물질이라 한다.  3. 화학약품 보관시 산과 알카리는 분리 보관해야 한다.  4. 불화수소는 매우 부식성이 강하여 유리도 부식시킬 수 있다.  5. 피브릭산은 건조한 상태에서 폭발할 수 있다.  6. 화학약품 보관법 ① 가연성, 인화성 증기가 체류하는 장소에서는 스파크가 발생하는 전기기구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② 용매는 밀폐하여 보관한다. ③ 산은 전용캐비넷에 보관해야 한다. ④ 산화성이 강한 질산은 따로 저장한다.  7. 부식성 물질 ① 농도가 40% 이상인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 염기류가 부식성 물질이다. ② 농도가 20% 이상인 염산, 황산 등이 부식성 물질로 분류된다. ③ 농도가 60% 이상인 인산, 아세트산 등이다. ④ 농도가 20% 이상인 염산, 황산 등이다. 8. 가연성 가스는 수소, 아세틸렌, 프로판 등이 있다.  9. 화학약품 운반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 ① 주변에 점화원이 없어야 한다. ② 화학약품은 운반용 용기에 넣어 운반한다. ③ 가연성 액체는 내압성 보관용기로 운반해야 한다. ④ 안전한 운반구를 이용하여 운반한다.  10. 화학물질 사고 예방 대책 ① 냉각기와 수돗물을 연결하는 튜브의 연결문제가 없는지 점검한다. ② 손상이 있는 실험기구는 사용하지 않는다. ③ 실험 중간에 자리를 뜰 경우 옆의 연구자에게 알린다. ④ 냉각수 공급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11. 실험시 기본 안전수칙 ① 위험물질을 다룰 경우 안전관리자의 승인없이 실험을 시행하지 않는다 ② 승인 없이 화학물질 또는 장비를 치우지 말아야 한다. ③ 화학물질을 다루기 전에 라벨이나 MSDS를 반드시 숙지한다. ④ 연구실 및 화학물질 저장장소에는 항상

계단 등 경사면 재해 예방 대책 ① 물기 또는 기름이 잔류되지 않도록 청결을 유지함 ② 계단 청소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순서로 한다. ③ 최소 75Lux 이상의 조도를 유지함 ④ 계단 끝단부에는 미끄럼 방지 테이프를 부착함

# # # [재난 관련 법규와 지진 안전] 학습 요약 자료  1.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의 모태는 재난관리법이다.  2.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의 목적은 재난의 발생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3.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의 단장은 소방청장이고, 지역긴급구조통제단의 단장은 시와 도는 소방본부장, 시, 군, 구는 소방서장이다.  4.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사고로 1995년 재난관리법 제정되었다.  5. 사회적 재난을 다룬 것은 민방위기본법이다.  6. 5년마다 국가안전기본계획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세우고 있는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이 처음으로 수립된 시기는 2005년이다.  7. 특정관리대상시설의 안전등급은 총 5단계로 나뉜다.  8. 안전관리기본계획의 작성 시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무총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9. 인명과 재난피해 발생 시 재난사태의 선포가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중앙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고 재난사태를 선포할 수 있는 사람은 행정안전부 장관이다.  10. 특별재난지역의 선포는 대통령이 한다.  11. 지진이 발생했을 때 실내에 있다면, 떨어지는 물건에 맞아 다치기 쉽기 때문에 탁자 밑으로 우선 몸을 숨기는 것이 좋다.  12. 다음 중 평상시 작업장 지진 대비 요령 ① 지진에 대비한 비상대응 조직 구성 ② 위험물 저장, 취급설비의 점검 및 보강비난문화 ③ 피난로 및 피난 장소 선정 및 점검 13. 지진이 다른 자연재해보다 대응이 어렵고 피해가 큰 이유는 다른 자연재난과는 달리 발생 시기와 피해 규모를 전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14. 다음 중 계단 등 경사면 재해 예방 대책 ① 물기 또는 기름이 잔류되지 않도록 청결을 유지함 ② 계단 청소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순서로 한다. ③ 최소 75Lux 이상의 조도를 유지함 ④ 계단 끝단부에는 미끄럼 방지 테이프를 부착함  15. 지진이 발생했을 때는 가스 밸브는 잠그고 전기 스위치를 차단해서 지진으로 인한 화재, 폭발 등 2차 재해를 방

경부의 퇴행성 관절염은 목·견갑골 부위의 근골격계 질환이다.

# # # [근골격계 질환의 이해] 학습 요약 자료  1. 근골격계 질환은 초기에 치료할 경우 완치가 가능하다.  2. 외상과염은 팔을 돌리거나 손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위하여 무리하게 속 근육을 사용하는 것이 원인이 된다. 종종 테니스 엘보라고 불리고 있다.  3. 사업주는 근로자가 근골격계 부담작업을 하는 경우에 3년마다 유해요인조사를 하여야 한다. 유해요인 조 사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57조에 규정되어 있다.  4. 근골격계 부담작업은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량, 작업속도, 작업강도 및 작업 장 구조 등에 따른 작업을 말한다.  5. 사업주는 근로자가 5킬로그램 이상의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사업주의 필요한 조치로는 '주로 취급하는 물품에 대하여 근로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물품의 중량과 무게중심에 대하여 작업장 주변에 안내표시를 할 것'과 '취급하기 곤란한 물품은 손잡이를 붙이거나 갈고리, 진공 빨판 등 적절한 보조도구를 활용할 것' 등이 있다.  6. 경부의 퇴행성 관절염은 목·견갑골 부위의 근골격계 질환이다.  7. 근골격계 질환(MSDs)에는 반복긴장성 손상(RSI), 누적외상성 질환(CTDs), 경견완 증후군(SAS)이 있다.  8. 근골격계 질환의 작업특성 요인으로는 반복성, 부자연스러운 자세, 접촉 스트레스 등이 있다.  9.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원인 중 사회심리적 요인은 직무스트레스, 휴식시간, 과도한 노동강도이다.  10. 근골격계 질환 발병 단계 중 세 번째 단계에서는 수면을 취할 수 없을 정도의 고통을 비롯해 작업수행 을 하는 게 어렵고, 일상생활이 힘들어진다.  11. 손가락이나 팔목을 많이 사용하는 키보드 사용자, 공장노동자, 헤어 디자이너, 버스 운전사 등의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생길 가능성이 높은 근골격계 질환인 수근관 증후군은 수근관의 통로가 좁아지면서

뇌심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위험요인 기초질환은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이다.

# # # [뇌심혈관계질환과 예방대책] 학습 요약 자료  1. 뇌출혈은 높은 혈압 등으로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며 주요 발생원인은 고혈압을 오래 앓은 경우, 흡연자 이면서 고혈압약을 복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2. 뇌심혈관질환은 유전, 생활습관, 스트레스 등 유해요인이 다양하고 특성상 단기예방 효과가 어렵다.  3. 업무상질병 뇌심혈관질환은 개인적 위험요인이 있는 사람에게 직업적 요인이 방아쇠 효과로 작용하여 발 생할 수 있다.  4. 저밀도지단백(LDL-콜레스테롤)은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운반하여 동맥경화증을 유발하는 반면 고밀도 지단백(HDL-콜레스테롤)은 보호효과가 있다.  5. 혈압이 140/90mmHg으로 나왔다면 고혈압 1기에 해당된다.  6. 당뇨병을 관리하는 사람은 적정 혈당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고혈당 뿐만 아니라 운동 중 발 생할 수 있는 저혈당 증상을 알아야 하고, 특히 인슐린으로 치료하는 경우 저혈당에 빠질 수 있으므로 식사 와 운동에 유의해야 한다.  7. 뇌혈관질환의 증상으로는 갑자기 한쪽 팔다리 힘이 빠지는 증상, 갑자기 어지럽고 균형을 잡기 어려운 증 상, 시야가 흐려지거나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증상 등이 있다. 가슴이 죄는 듯한 느낌, 압박감의 증상은 심 혈관질환(협심증)의 증상이다.  8. 심근경색은 심한 가슴 통증이 왼쪽 어깨, 팔, 턱, 목 등으로 퍼지며, 호흡곤란, 실신 등을 동반할 수 있다. 죽을 것 같은 심한 가슴 통증, 안정을 취해도 사라지지 않으며 보통 30분 이상 지속되고, 관상동맥이 완전 히 막힘으로써 순간적으로 심장근육의 괴사가 발생하는 불가역적인 변화가 발생한다.  9. 뇌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 중 교정할 수 없는 요인은 성별, 유전, 연령이고 교정할 수 있는 요인은 기초질 환, 비만, 흡연, 스트레스 등이다. 10. 뇌심혈관질환의 주요 직업적 발병 유발요인으로 업무량, 업무강도 증가, 직무스트레스, 고정 야간작업, 교대작업이 있다.  11. 뇌심혈관질환

리질리언스 능력의 구성요소 ① 대응(Responding) ② 감시(Monitoring) ③ 예견(Anticipating) ④ 학습(Learning) / 리스크 감소대책 ① 본질안전화 ② 공학적 조치 ③ 관리적 조치 ④ 개인용 보호구

# # # [리질리언스와 안전문화] 학습 요약 자료  1. 현장에 맞는 안전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관리기반대책과 행동기반대책이 모두 이루어져야 한다.  2. 관리기반대책으로는 '작업의 자동화, 작업환경의 인강공학적 개선, Fool Proof, Fail Safe…' 등이 있다.  3. 리스크 감소조치 중 '확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물(物)에 의존하는 조치(본질안전화 + 공학적 대책)이다.  4. 재해방지효과의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은 '본질안전화'이다.  5. 국제안전규경이 정의하는 「안전」은 ALARP 영역이며, ‘부득이하게 허용하는 리스크’와 ‘허용 가능한 리스 크’를 포함한다.  6. 리스크 감소대책 ① 본질안전화 ② 공학적 조치 ③ 관리적 조치 ④ 개인용 보호구  7. 리질리언스 능력의 구성요소 ① 대응(Responding) ② 감시(Monitoring) ③ 예견(Anticipating) ④ 학습(Learning)  8. 안전문화 조성을 위한 관리시스템인 PDCA 중 D(실시)는 'CEO의 의사전달, 이해'와 '안전문화 조성활동의 실시'이다.  9. 리질리언스 능력의 보완적 요건 ① 자원배분의 적절성 ② 미묘한 변화의 인지 ③ 선제적 행동의 중시. ④ 성공사례의 착안  10. 상황인식 모델 중 '상황인식' 범위 ① 상황지각(Perception) ② 상황이해(Comprehension) ③ 예상(Projection)  11. 리질리언스 효과 ① 면역력 ② 저항력 ③ 복원력 12. 위험원의 배제 또는 저감은 관리기반대책이다. 행동기반대책에는 절차준수, 자립적 안전행동, 배려, 책임 감과 긍지 등이 있다.  13. 관리적 대책으로는 작업절차의 마련, 기본수칙의 제정, 안전기준의 제정 등이 있다. 기계 방호장치 장착 은 방호대책으로 관리적 대책이 아닌 공학적 대책이다 0 사회초년생에게 돈이되는

직장 내 괴롭힘의 행위요건 ① 지위 또는 관계의 우위 이용 ② 업무상 적정범위 ③ 신체적, 정신적 고통

# # # [사회심리적 유해요인 관리 – 직장 내 괴롭힘] 학습 요약 자료  1. 직장 내 괴롭힘의 행위자는 고용주, 대리경영인, 피해자와 같은 사용자와 고용관계를 맺고 있는 근로자 등이 해당한다.  2. 직장 내 괴롭힘 판단시 업무관련성은 직접적인 업무수행 과정이 아니라도 업무수행에 편승하여 이루어 졌거나 업무를 빙자하여 이루어졌을 경우 업무관련성이 인정된다.  3. 직장 내 괴롭힘 판단시 행위자의 의도가 없었더라도 그 행위로 인해 피해자가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받 았거나 업무환경이 악화되었다면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된다.  4.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업무상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 질병에 대 해 보상이 가능하다.  5.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영향은 동료, 회사 전반에 죄책감 부여, 조직 화합력 저해 등 부정적 영향을 미 칠 수 있다.  6. 직장 내 괴롭힘의 행위요건 ① 지위 또는 관계의 우위 이용 ② 업무상 적정범위 ③ 신체적, 정신적 고통  7. 직장에서 지위 또는 관계의 우위 판단시 고려하는 요소 ① 정규직 여부 ② 수적 측면 ③ 업무역량  8. 직장 내 괴롭힘의 행위요건 중 근무환경 악화행위 ① 면벽근무 지시 ② 필요물품 미지급 ③ 인사권의 범위 밖에서 이동지시  9. 업무상 괴롭힘 중 과소요구 사례에는 허드렛일만 시키거나 업무에 필요한 물품을 지급하지 않는 행위, 중 요한 정보제공이나 의사결정과정에서 배제하기 등이 있다.  10. 직장 내 괴롭힘의 행위요건 ① 두통 ② 면역기능저하 ③ 뇌심혈관질환 이환  11. 직장 내 괴롭힘이 회사에 미치는 영향 ① 조직화합력 저해 ② 조직 긴장감 고조 ③ 생산력 감소 ④ 기업경쟁력 약화  12. 직장 내 괴롭힘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질병은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에 부합한다.  13. 직장 내 괴롭힘의 판단요소에는 피해자, 행위 장소, 행위 요건이 있다 0 사회초년생에게 돈이되는 꿀팁 모음 https:/

자율안전보건활동의 특징 ① 전원 참가 ② 현장감독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충분한 교육 ③ 산업현장의 안전 확보를 위한 풀뿌리 안전활동

# # # [산업안전보건법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 학습 요약 자료  1. 작업장 안전관리 접근방법의 지향점은 안전문화이다.  2. 우리나라는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됐다.  3. 근로기준법에서 분리되어 산업안전보건법으로 제정된 이유 ① 새로운 공법의 채용 ② 기계·기구의 사용 증가 ③ 유해물질의 대량 사용  4. 산업안전보건법에 대한 헌법의 근거 조문은 헌법 제32조 3항이다.  5.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은 노무를 제공하는 자(근로자 포함)의 안전·보건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함이다.  6. 산업안전보건법의 특징 중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부분에는 안전보건관리체제 구축, 경영진의 안전관리에 대한 책무(Commitment), 자율적 안전활동 촉진이 있다.  7. 산업안전보건법상 의무주체로는 사업주, 근로자, 제조자, 수입자가 있다.  8. 산업안전보건법에 포함된 근로자의 공법상의 권리에는 관여권, 신고권, 알권리가 있다.  9. 자율안전보건활동의 특징 ① 전원 참가 ② 현장감독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충분한 교육 ③ 산업현장의 안전 확보를 위한 풀뿌리 안전활동  10. 4S 활동은 정리·정돈·청소·청결을 통해 안전과 보건을 확보하는 활동이다.  11. '국가가 보험제도를 관장하고 사업주가 의무적으로 보험에 가입하게 하여 피해근로자·유족이 재해보상을 받을 수 있는 제도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다.  12. 사업주의 과실 유무를 묻지 않고 보상책임을 지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말은 무과실책임이다.  13. 요양급여는 산업재해보상제도에 적용되는 보상액의 정률화의 예외 규정에 속한다.  14. 고용노동부장관의 위탁을 받아 보험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은 근로복지공단이다. 15. 업무상 재해 판단기준 중 업무수행성 구성 요소에는 사용자의 지배·관리가 있다.  16. 업무상 재해가 인정되려면 원칙적으로 업무수행성과 업무기인성 모두 갖추어야 한다. 17. 통상적인 경로를 이탈한 경우는 사업장 내 업무시간 외의 재해에 속하지

Chipotle stock / 치폴레 주식

# # # 🌯 For those of you that don’t know, Chipotle is my favorite fast casual restaurant because of their high quality ingredients, convenient locations, and reasonable pricing. The company reported fourth quarter earnings last week that wrapped up a strong 2023. Q4 2023 Key Figures: *Revenue: $2.5B (up 15.4% YoY) *Net Income: $282M (up 26.1% YoY) *Comparable Restaurant Sales: 8.4% (up from 5.6% in Q4 2022) *Operating Margin: 14.4% (up from 13.6% YoY) *New Restaurant Opens: 121 New Locations There’s a lot to savor about these results. Revenue and net income are continuing to accelerate, margins are getting juicier, and the company is seeing robust comparable restaurant sales. For 2024, Chipotle plans to spice things up with an additional 285 to 315 new restaurants and is forecasting mid-single digit growth in comparable restaurant sales. 0 사회초년생에게 돈이되는 꿀팁 모음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19/08/blog-post_25.html 미국투자 시 알아두면 좋은 사이트 http

전기시설관리 기술자가 할 수 있는 창업분야 / 시설관리기술자

# # # 창업 전략 4.1 창업 아이디어 전기 설비 점검 및 유지보수 사업 전기 설비 설계 및 시공 사업 에너지 절약 컨설팅 사업 전기 설비 관련 교육 사업 스마트 홈 시스템 설치 사업 전기 자동차 충전소 설치 사업 4.2 시장 조사 창업 아이디어의 시장 규모, 성장 가능성, 경쟁 심도 등을 조사합니다. 타겟 고객층을 분석하고, 고객의 니즈를 파악합니다. 경쟁 업체를 분석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합니다. 4.3 사업 계획 수립 사업 목표, 비전, 전략 등을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마케팅 계획, 영업 계획, 재무 계획 등을 구체적으로 수립합니다. 자금 조달 계획, 위험 관리 계획 등을 마련합니다. 4.4 창업 지원 정부 및 민간에서 제공하는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합니다. 창업 컨설팅, 교육, 훈련 등을 통해 창업 역량을 강화합니다. 창업 공간, 자금 지원 등을 적극 활용합니다. 4.5 성공 사례 전기 설비 관련 창업 성공 사례를 참고합니다. 성공 사례를 통해 성공 요인과 실패 요인을 분석합니다.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창업 전략을 수립합니다. 5. 주의 사항 창업은 성공과 실패의 확률이 존재합니다. 창업 전에 충분한 준비와 검토가 필요합니다. 창업 후에도 꾸준한 노력과 자기 개발이 중요합니다. 6. 기타 고려 사항 개인의 성향, 가치관, 능력 등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예상치 못한 변수를 고려하여 유연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목표 달성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포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7. 전문가 도움 필요하면 창업 전문가, 재무 전문가, 법률 전문가 등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8. 결론 10년 안에 연봉 2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노력과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위에서 제시된 전략을 참고하여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한다면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참고 자료 중소벤처기업부:  https://www.mss.go.kr/site/sm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