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가 제로(ZERO)가 되지 않는 이유 ①리스크 역관계 ②리스크 항상성 이론 ③리스크와 효율의 역관계 / 6.리스크의 공학적인 정의 ①시나리오(Hazardous Situation/event) ②확률( Likehood/lokehood) ③손실(Severity/damage) / 열심히 노력하면 시스템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하고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더라도 사실상 무사고 시스템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은 고도안정성 이론이다
#
#
#
[
리스크와 심리] 학습 요약 자료
1.리스크는 나쁜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 과 위험의 원인' 등의 의미가 내포된 개념이다
2. 리스크 항상성 이론(Risk Homeostasis 는 캐나다 교통심리학자 제럴드 와일드가 주장하였다
3.몇 개의 에러, 상황 등이 겹치거나 축적되어 평상시 문제가 없었던 시스템이 돌연 붕괴되는 경우 를 정상사고(Normal Accidents 라고 한다
4.시스템의 상호작용적 복잡성(Interactive 과 긴밀한 연계성(Tight 으로 인해 참사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은 정상사고 이론이다
5.룰을 준수하여야 할 이유에 대해 교육하는 학습단계는 태도교육(Know Why) 이다
6.리스크의 공학적인 정의
①시나리오(Hazardous Situation/event)
②확률( Likehood/lokehood)
③손실(Severity/damage)
7.리스크가 제로(ZERO)가 되지 않는 이유
①리스크 역관계
②리스크 항상성 이론
③리스크와 효율의 역관계
8.사람이 위험을 감수하는 경우
①성공에 수반하는 효용이 크게 느껴지는 경우
②리스크를 피하는 것의 불효용이 크게 느껴지는 경우
③리스크 행동 자체에 효용이 있는 경우
9.안전학의 구성요소 중 안전관리 영역
①안전법제
②안전교육
③안전심리
10.찰스 페로(Charles 는 합리적인 편익보다 불가피한 리스크가 더 큰 핵무기 와 원자력발전 을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1.와일드는 리스크 항상성 이론을 통해 목표 수준 에 주목하여 목표 수준 이 변화하면 사고율은 변화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12. 일반적으로 휴먼에러는 의도하지 않고 저지른 실수를 의미한다
13. 열심히 노력하면 시스템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하고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더라도 사실상 무사고 시스템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은 고도안정성 이론이다
0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19/08/blog-post_25.html
미국투자 시 알아두면 좋은 사이트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20/08/blog-post_25.html
재밌고, 유익한 책 모음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20/04/adsbygoogle-window_67.html
돈버는 부동산정보 사이트모음 / 아파트거래량 보는 법 / 좋은 아파트 매물 찾는 법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22/01/blog-post_25.html
한국사람들이 생각하는 결혼에 대한 모든 것!!!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19/08/blog-post_99.html
시설관리는 무슨일을 할까?부터 시설관리업무 후기를 한눈에 보이게 모았다!!!
시설관리 정보를 보시길 원하시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https://sorilovelylife.blogspot.com/2019/08/blog-post.html
댓글
댓글 쓰기